분류 전체보기355 무언가에 중독된 기업 "중독의 두가지 중요한 특징은 심각한 결과가 초래됨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계속 남용하게 되는 것과 부정직함이다."- 앵거스 디턴 외, '절망의 죽음과 자본주의의 미래'생산적인 '이용'과 파멸적인 '중독'의 차이는 1) 그것을 멈출 수 있는가 2) 그것으로 인하여 계속 거짓말을 하게 되는가..에 의해서 결정된다.성장이 정체되어 있거나 오히려 후퇴하고 있는 기업이라면 스스로 중독 여부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2024. 10. 31. 무술 고수의 몰락 오랜 세월 이어 내려온 전통무술의 고수 또는 전수자들이 평범한 MMA 강사인 쉬샤오둥에게 처참히 얻어맞고 무너지는 걸 보면서 발견한 것 몇가지는1. 고수들의 팔다리가 너무 가늘다. : 무술은 기본적으로 몸으로 상대를 제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몸이 튼튼해야하나, 고수들은 몸의 단련을 게을리 했음2. 발이 땅에 붙어 있다. : 싸움에 있어서 최고의 방어는 상대의 공격 가능 범위 밖으로 벗어나는 것이다. 그런데, 고수들은 공통적으로 불시에 상대를 내 공격반경에 넣는 것도, 내가 상대의 반경 밖으로 나가는 훈련도 되어 있지 않음3. 타격 자체가 약하다. : 용케, 상대를 때리는데 성공했어도, 상대가 입는 피해는 매우 미미함. 즉, 오래 수련한 그 무술의 타격법은 상대를 쓰러뜨리기 위한 '타격법'이 아니라.. 2024. 10. 31. Bottom-up communication의 실종 기업에서 'Bottom-up communication'의 부족할 때 발생되는 여러 문제 중에서 우려스러운 것은 '잡일의 증가 -> 조직 피로 상승 -> 조직 지능 하락 -> 잡일의 창조'의 악순환이다. 일의 목적 또는 지향점에 대한 Insight는 리더의 의견이 옳을 가능성이 높다. 반면, 일을 수행하는 방법론에서는 실무자의 '시행착오 경험'과 노하우를 무시할 수 없다. 그런데, 문제는 그 중간에서 발생한다. 리더의 지시를 받은 중간관리자가 리더의 지향점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까라면 까'의 방식으로 현장업무를 지휘한다. 이것은 현실에서 중간관리자가 리더에게 방향성이 적절한지 challenge하지 못하고, 자신의 이해가 정확한지 question하지 못하는 환경 하에, 실무자의 challe.. 2024. 10. 31. 답을 알고 있더라도 - 한비자 '방렴직광' "지금 많은 사람들이 성공하기를 바라면서도 도리어 실패하게 되는 까닭은, 도리를 알지 못하면서도 잘 아는 이에게 묻거나 능력있는 자에게 의견을 들으려고 하지 않는 데에서 생기는 것이다.많은 사람들이 잘 아는 이에게 묻거나 능력 있는 자에게 의견을 들으려 하지 않는데도 성인이 억지로 그 실패를 나무라면 그들은 원망을 한다.성인이 아닌 사람들은 그 수가 많고 성인은 그 수가 적으니 적은 수가 많은 수를 이기지 못하는 것은 마땅한 이치이다.지금 행동을 취하여 천하 사람들과 원수가 되는 것은 몸을 온전히 하여 오래도록 사는 길이 아니기에 그 까닭으로 궤절에 맞추어 행하면서그렇게 더불어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한비자 '방렴직광(方廉直光)'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solution은 다수의 동의에 의해서 만들어지기 .. 2024. 10. 31. 진실의 순간 - 한비자 '이병'편 "포상을 받는 것은 백성이 좋아하는 일이니 군주가 직접 행사하고, 형벌을 받는 것은 백성이 싫어하는 일이니 신이 직접 담당하겠습니다."- 한비자, '이병(二柄)' 중에서 칭찬하는 자리를 통해 들을 수 있는 voice of employee와.. 징계의 자리에서 들을 수 있는 voice of employee는 매우 다른 종류의 것이다. 어느 것이 더 중요하다고 저울질 할 필요가 없이 모두 경영을 위해서 필요한 voice인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진정성이라는 관점에서는 어쩌면 후자가 더 날 것의 진실을 직면할 수 있는 순간일 가능성이 높다. 참고로, 위에서 인용한 한비자 속 '발언'은 송나라의 권신 '자한'이 송환후에게 한 말이었으며 결과적으로 송나라 왕은 자한으로부터 협박을 당하는 위태로운 지경에 처하게.. 2024. 10. 31. 시작론적 세계 - 션 캐럴 '빅픽처' "그동안 사람들은 정반대로 생각해왔다. 대부분 사람들이 상상하는 세상은 어떤 목적을 향해 달려가는 목적론적 세상이었다. 하지만, 사실 세상은 시작론적(ekinological)이다. 현재 우리 우주가 슬쩍슬쩍 보여주는 모든 신비와 미스터리의 열쇠는 우주의 시작에 있다. 그 시절 그때의 결과로 지금 우리가 이런 삶을 살고 있는 것이다. 우주의 큰 그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사실을 절대로 잊지 말아야 한다. 우리는 세상을 관찰하고 원인과 결과, 그러한 현상이 나타난 이유, 목적과 목표 따위를 따져가며 설명하고자 애쓴다. 하지만 이런 개념들은 현실의 근본 구성요소가 아니다."- 션 캐럴, '빅픽처' '양자와 시공간, 생명의 기원까지 모든 것의 우주적 의미에 관하여'라는 부제가 붙은 책의 이 구절을 지나면서, .. 2024. 10. 31.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