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77

전문가의 딜레마 某 그룹의 계열사 대표이사를 채용하는 면접장이었다. "장기진님은 본인 스스로 어떤 부문의 전문가라고 생각하시나요?"전문가라..・IMF시절에 구두가 닳도록 거리를 걸으며 가맹점 유치 영업을 하면서 사회생활을 시작했고,・콜센터가 전산화되는 시기에는 CTI 구축에 참여했고,・코딩을 배워서 데이터를 분석했고,・마케팅을 기획했고,・온갖 기업을 위해 경영 컨설팅을 했고,・경영 관리를 하면서 조 단위 돈을 만원 단위로 챙겼고,・M&A를 했고,・DevOps 솔루션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을 창업했고,・오픈 이노베이션을 했고,・공무원들과 지자체 의원들과 밀당을 했고,・온갖 법률 분쟁와 규제 이슈에 대응하고,・생산~물류~유통을 최적화시스템을 만들었고,・개발자 커뮤니티를 운영하면서 상업 서비스와 공익 서비.. 2024. 11. 21.
찰리 멍거 - 난관을 극복하는 지혜 "❶ 기대를 낮춘다 ❷ 유머 감각을 갖춘다 ❸ 친구와 가족의 사랑으로 주위를 감싼다" - 찰리 멍거 → 분에 넘치도록 좋은 친구들과 가족이 내 곁에 가까이 있으니 3번은 매우 쉽고 2번도 딱히 어렵지 않으나 1번이 난관이다. 기대를 낮추는 것과 '실패 인정'을 넉넉히 구분할 수 있는 마음의 체력이 필요하다. 2024. 11. 21.
찰리멍거 - 비즈니스 커리어의 기본 원칙 "❶ 자신이 사지 않을 것은 팔지 않는다 ❷ 존경하지 않고 존중하지 않는 사람 밑에서는 일하지 않는다 ❸ 같이 있으면 즐거운 사람들하고 일한다"  - 찰리 멍거 → 인류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만든 사람이 실천한 원칙이니 더 늦기 전에 한번 따라가 보는 것도 괜찮을 듯 ^^ 2024. 11. 21.
인생은 과정의 집합일 뿐이다 - 랜디 코미사르 '승려와 수수께끼 The Monk and the Riddle' "The Monk and the Riddle" ‘승려와 수수께끼’라는 제목으로 번역된 이 책을 통해 실리콘밸리의 구루로 명성이 높았던 랜디 코미사르는 스타트업 창업이라는 것이 과연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을 시도한다. 책은 The Riddle로 시작한다. 여기서 Riddle은 수수께끼로 번역해도 좋고 화두로 번역해도 무난하다. 창업이란 어떻게 하는 것이고 성공을 위해 어떤 지혜가 필요하다는 것을 설파하기 전에 랜디 코미사르는 화두를 먼저 제시한다. 어쩌면 그 화두가 책 전체의 내용을 요약한 것일 수도 있다. 그 화두를 통해 랜디 코미사르가 얻었던 깨달음은 이렇다. “When we first left.. I wanted nothing more than to get to my destination, but no.. 2024. 11. 20.
자존감의 출발점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이 자기 자신과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행복을 파괴하는 걸 학교와 직장 그리고 여러 가정의 모습에서 수없이 목격해온지라. 항상 궁금했다. 어떻게 해야 자존감이 생기는걸까? 잘은 모르겠으나 자존감의 출발점이 타인의 말(평가 or 칭찬)이어서는 이 험한 세상을 행복하게 살아가기는 쉽지 않아보인다.부모로부터이든 사랑하는 연인으로부터든 무조건적인 사랑을 받았던 경험을 통해 형성된, 그래서 구체적인 외적 조건과는 연결되지 않는 그런 자아상에 의해 자존감이 지탱된다면 적어도 타인에 의해 갈대처럼 흔들리기만 하지는 않을 듯 하다.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약육강생의 정글자본주의 속에서 살아갈 내 아이의 인생을 위해 아이에게 ‘외적 조건’을 갖추라는 말은 줄이고, 아이로 하여금 자신이 ‘얼마나 많이 사랑.. 2024. 11. 20.
까라면 까 "1917년 10월에 일어난 러시아 혁명의 이상이 어떻게 몇년이 지나지도 않은 1920년 즈음이 되어 관료집단에 의해 압살되고 말았는가?" 인류 역사상 최대의 변화관리 프로젝트였던 '러시아 혁명'에 대한 오슬로 대학 박노자 교수의 의문점이다. 그의 답은 심플하다. 사회주의를 지향하는 혁명이었음에도 단기적인 근대화 추진을 위해 '철저한 명령과 복종 위주의 서열체계'를 요구했던 내적 모순이 혁명을 망가뜨렸으며, 그들이 지향했던 '사회주의'가 아니라 결국은 스탈린으로 상징되는 '전체주의'로 귀결되었다는 것이다.이 얘기를 기업 경영에 적용해보면 어떨까?혁신과 가치창출을 추구하는 기업이 여하한 이유로 인해 구성원들에게 '철저한 명령과 복종 위주의 서열체계'를 요구한다면, 회사의 경영진도 주주도 직원도 고객도 아닌.. 2024. 1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