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읽기의 즐거움65

인생은 과정의 집합일 뿐이다 - 랜디 코미사르 '승려와 수수께끼 The Monk and the Riddle' "The Monk and the Riddle" ‘승려와 수수께끼’라는 제목으로 번역된 이 책을 통해 실리콘밸리의 구루로 명성이 높았던 랜디 코미사르는 스타트업 창업이라는 것이 과연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을 시도한다. 책은 The Riddle로 시작한다. 여기서 Riddle은 수수께끼로 번역해도 좋고 화두로 번역해도 무난하다. 창업이란 어떻게 하는 것이고 성공을 위해 어떤 지혜가 필요하다는 것을 설파하기 전에 랜디 코미사르는 화두를 먼저 제시한다. 어쩌면 그 화두가 책 전체의 내용을 요약한 것일 수도 있다. 그 화두를 통해 랜디 코미사르가 얻었던 깨달음은 이렇다. “When we first left.. I wanted nothing more than to get to my destination, but no.. 2024. 11. 20.
부패한 감정들을 담아내는 그릇 마음 속 어딘가에서 아직 언어화되지 못한채 부패하고 있는 감정들을 명료한 문장에 담아 잔인하게 눈 앞으로 들이미는 소설을 만날 때가 있다.이경란 작가의 단편소설 '다정 모를 세계'가 그렇다.. . ."모래시계의 알갱이가 몇 개씩 일정한 속도로 흘러내리듯 다정에게서도 무언가 지속적으로 빠져나갔다"→ 나에게 있어서 관계의 종말은 언제나 이런 식으로 시작되었다. 웃는 얼굴로 아무렇지 않은 척했지만, 내게서 무언가 빠져나가는 느낌이 지속되다보면 어느새 텅 비어버린다. 그리고 끝난다.. . ."믿는다는 건 속는다는 것과 별로 다르지 않았다"→ 속지 않으려면 믿지 말아야 한다. 그런데 계속 믿고 계속 속는다. 지금까지 그랬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 ."준우의 온도가 섞인 음악은 다정의 독립된 영역을 지워버린다.. 2024. 11. 12.
역효과 명제 - 앨버트 허시먼 '보수는 어떻게 지배하는가?' 교실에서 폭력 행위와 금품 갈취가 심하게 발생되고 있다는 사실을 포착한 교사가 불량 학생을 불러서 징계조치를 내리게 될 경우,불량 학생이 반성을 하고 잘못된 행동을 멈출 수도 있겠으나 오히려 앙심을 품고 피해학생을 더 많이 괴롭힐 가능성도 존재한다. 안타깝게도 24시간 중에 교사가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시간은 학교에 머무는 동안의 몇시간에 불과하고 피해학생은 나머지 대부분의 시간동안 불량학생의 폭력에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교사의 징계행위는 오히려 피해학생으로 하여금 더 많은 고통에 시달리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렇다면, 교사의 징계 행위는 부적절했는가? 교사는 불법 행위가 발생되더라도 내버려두어야 하는 것인가? 책 '보수는 어떻게 지배하는가'에서 저자인 앨버트 허시먼은 보수 진영이 오랜 .. 2024. 11. 12.
또라이의 가치 - 한순구 '그들은 왜 최후의 승자가 되지 못했나' 책 ‘그들은 왜 최후의 승자가 되지 못했나’에는 30명의 건장한 남성과 총알을 1발만 가지고 있는 강도가 버스 안에서 대치하는 얘기가 나온다. 30명의 건장한 남성이 강도 1명을 제압하는 건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다만, 강도가 총을 쏜다면 승객 30명 중에서 1명은 크게 다치거나 목숨을 잃을 확률이 높다. 반대로, 강도 역시도 싸움이 벌어졌을 때 자신이 최후의 승자가 될 가능성이 없다는 것 쯤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만약 싸움이 벌어지고 자신이 총을 쏘고 나서 잡히게 된다면 강도죄 뿐만 아니라 살인죄까지도 저지른게 되기 때문에 남은 여생은 감옥 속에서 살아야한다. 물론 사형도 가능하다. 따라서 강도가 생각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총을 쏘지 않고 위협하는 선택을 하게 된다. 또라이가 없는 세상에서 건.. 2024. 11. 10.
엘리아데 '성과 속' 뒤르켐에 따르면 종교는 '신성한 대상과 신성하지 않은 대상'을 구분하는 교리와 '신성한 대상'을 대하는 행동 방식을 규정하는 의례로 구성된다.   뒤르켐은 '대상' 자체의 특징에서 '신성함'을 도출해 낼 수 없다고 주장한다. 즉, 신성한 대상은 신성하기 때문에 그 지위를 획득한 것이 아니라는 얘기이다.  오히려, 신성한 장소에 놓여져 있는 무언가가 신성한 대상이 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의례'를 통해 신성하지 않은 무언가가 신성한 장소로 옮겨지면서 신성한 대상으로 변신한다. 안타깝게도 뒤르켐은 신성한 장소에 대해서는 딱히 자세한 설명을 남기지 않았다. 이 문제의 신성한 장소에 대해 엘리아데는 책 '성과 속'에서 재미있는 해석을 내놓는데,  엘리아데에 따르면 인간적인 욕구의 충족이 가능한 어떤 물리적 또.. 2024. 11. 10.
성선설의 가치 - 새뮤얼 보울스 '도덕경제학' 미국 보스턴 시의 소방청장은 소방대원의 휴가가 월요일과 금요일에 몰려있는 걸 발견하고는 유급휴가 허용기간을 줄이고 초과 시에는 급여에서 삭감하는 조치를 취했다. 이 조치에 의해서 과연 소방대원들의 휴가 사용이 줄어들었을까? 반응은 소방청장의 기대와은 다르게 발생했다. 휴가의 경제적인 기회 비용이 크게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이전보다 2배 이상 늘어났다. 이스라엘 하이파 시의 어린이집 6곳에서는 방과 후에 자녀를 늦게 데리러 오는 부모들에 대해서 벌금을 부과했다. 그러나 벌금이 부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각하는 부모의 숫자는 줄어들지 않았다. 역시 이 경우에도 부모들의 지각은 크게 증가했다. 고전 경제학은 인간이 경제적인 이익 극대화를 목표로 합리적으로 행동한다고 가정한다. 단기적으로는 '정보의 부족'.. 2024. 1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