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7년 10월에 일어난 러시아 혁명의 이상이 어떻게 몇년이 지나지도 않은 1920년 즈음이 되어 관료집단에 의해 압살되고 말았는가?"
인류 역사상 최대의 변화관리 프로젝트였던 '러시아 혁명'에 대한 오슬로 대학 박노자 교수의 의문점이다.
그의 답은 심플하다.
사회주의를 지향하는 혁명이었음에도 단기적인 근대화 추진을 위해 '철저한 명령과 복종 위주의 서열체계'를 요구했던 내적 모순이 혁명을 망가뜨렸으며, 그들이 지향했던 '사회주의'가 아니라 결국은 스탈린으로 상징되는 '전체주의'로 귀결되었다는 것이다.
이 얘기를 기업 경영에 적용해보면 어떨까?
혁신과 가치창출을 추구하는 기업이 여하한 이유로 인해 구성원들에게 '철저한 명령과 복종 위주의 서열체계'를 요구한다면, 회사의 경영진도 주주도 직원도 고객도 아닌 관료주의에 의해 회사가 휘둘리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는 얘기로 연결될 수 있다.
문제는 '까라면 까'로 대표되는 윽박지르기 방식으로 조직을 운영하는 것이 당장은 가장 쉽고 편리다는 점이다. 그 유혹을 이겨내야 '혁신'이 숨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비즈니스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 경영의 필수 요소 '안전 장치' (0) | 2024.11.22 |
---|---|
전문가의 딜레마 (0) | 2024.11.21 |
간신을 곁에 둔 리더에게 해피엔딩은 없다 (0) | 2024.11.19 |
조직은 일로 사람은 덕으로 (0) | 2024.11.18 |
예측되지 않은 창의성은 해롭다 (0) | 2024.11.18 |